의료기관 개설 시 장애인 시설 설치 이슈 정리
페이지 정보

본문
✅ [실제 사례 기반] 의료기관 개설 시 장애인 시설 설치 이슈 정리
사례 1. 엘리베이터 없는 2층 계약 – 허가 불가 위기
항목 내용
위치 경기도 남부 A상가 2층 (30평)
계약 조건 보증금 8,000만 원 / 월세 370만 원 / 권리금 없음
문제 상황 건물에 엘리베이터 없음
→ 보건소 인 허가 단계에서 “장애인 이동권 미 충족으로 개설 불가” 통보
해결 방안 건물주와 협의 → 엘리베이터 설치는 구조상 불가
→ 계약 해지, 보증금 전액 환불 조항에 따라 위약금 없이 종료
교훈 2층 이상 개원 시, 엘리베이터 유무는 필수 요건
→ 사전 확인 없으면 인 허가 자체가 거절될 수 있음
사례 2. 장애인 화장실 기준 미달 – 구조 변경 허가 후 해결
항목 내용
위치 XX동 2층 코너 상가
전용면적 약 31평
문제 상황 내부 화장실이 협소하여 장애인 화장실 기준 미달
→ 보건소 담당자 현장 실사에서 "불 승인 예정" 의견
해결 방안
① 설계도 재 조정 → 접수실 일부를 줄여 900x1400mm 이상 규격 확보
② 슬라이딩 도어 변경
③ 손잡이, 세면대 높이 조정
결과 구조 변경 반영 후 인허가 승인 완료
교훈 사전 설계 시 장애인 화장실 규격(출입 폭, 회전 공간 등) 반드시 고려
사례 3. 1층 입지인데도 장애인 경사로 설치 요구 – 도로 경계 문제
항목 내용
위치 XX시 신도시 상가 1층 (전면 도로 접면)
이슈 건물 출입구가 계단 2단 있음
→ 보건소 “장애인 진입로 경사로 없으면 인 허가 불가” 통보
문제 건물주가 도로쪽 경사로 설치에 비협조적
,
시공 시 인도 점용 허가 필요
해결 방안
① 도로 점용 허가 신청 → 시청 민원과 협의
② 건물주 동의서 확보 후 경사로 1.2m 설치
결과 인 허가 통과 및 개원 성공
교훈 1층이라도 단차 존재 시 반드시 경사로 계획 포함
→ 공공 도로 접점이면 지자체 허가 필요
사례 4. 장애인 시설 미 설치 허용 예외 – 전용 면적 29평 이하일 경우
항목 내용
위치 서울시 XX구 2층 소형 상가 (전용 27.8평)
이슈 내부 화장실 있음, 엘리베이터 없음
→ 소규모 의료 기관 면제 기준 검토
결과
① 「장애인 등 편의법 시행령」에 따라
전용 면적 100㎡ 미만(약 30.25평)일 경우 의무 설치 제외 가능
② 구청장 재량에 따라 서약서 제출 후 허가 통과
교훈 소형 병원일 경우 면적 기준 충족 시 설치 면제 가능성 있음
→ 단, 관할 보건소 판단 따라 예외 적용 여부 달라짐
✅ 요건 정리: 의료 기관 장애인 편의 시설 설치 기준 (요약)
구분 기준 비고
장애인 화장실 1개 이상 설치 의무 (남녀공용 가능)
출입 폭 900mm 이상, 회전 공간 1,400mm 이상 내부 설치 원칙. 외부 공용은 불가
엘리베이터 2층 이상 설치 필수 없는 경우 개설 불허
경사로 단차(계단 등) 있는 경우 필수 1:12 이하 경사, 핸드 레일 포함
예외 인정 전용 면적 100㎡ 미만 소규모 병원 지자체 재량 있음 (서약서 등 요구 가능)
근거: 「장애인·노인·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」 및 시행령
✅ 계약서 협상 포인트 예시 (장애인 시설 관련)
제XX조(장애인 편의 시설 설치 협의)
임대 목적물에 병·의원 개설 시, 인 허가를 위한 장애인 편의 시설(엘리베이터, 경사로, 화장실 등) 설치가 필요한 경우, 건물주는 이에 협조하며, 해당 구조 변경 또는 설치에 대해 사전 동의를 제공한다.
단, 공용 공간 내 설치 시 건물주가 점유 허가 및 구조물 시공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으며, 임차인은 해당 행정 인 허가를 별도로 처리한다.
✅ 정리 요약
주요 이슈 실무 대응 방법
2층 이상인데 엘리베이터 없음 무조건 불허, 계약 전 확인 필수
내부 화장실 협소 구조 변경 가능 여부 협의 필요
1층이지만 계단 존재 경사로 설치 계획 사전 수립 / 도로 점용 협의
소형 병원 (30평 이하) 장애인 시설 예외 가능, 사전 보건소 협의 필수
건물주 비협조 계약서 특약 및 서면 동의 확보 필수
사례 1. 엘리베이터 없는 2층 계약 – 허가 불가 위기
항목 내용
위치 경기도 남부 A상가 2층 (30평)
계약 조건 보증금 8,000만 원 / 월세 370만 원 / 권리금 없음
문제 상황 건물에 엘리베이터 없음
→ 보건소 인 허가 단계에서 “장애인 이동권 미 충족으로 개설 불가” 통보
해결 방안 건물주와 협의 → 엘리베이터 설치는 구조상 불가
→ 계약 해지, 보증금 전액 환불 조항에 따라 위약금 없이 종료
교훈 2층 이상 개원 시, 엘리베이터 유무는 필수 요건
→ 사전 확인 없으면 인 허가 자체가 거절될 수 있음
사례 2. 장애인 화장실 기준 미달 – 구조 변경 허가 후 해결
항목 내용
위치 XX동 2층 코너 상가
전용면적 약 31평
문제 상황 내부 화장실이 협소하여 장애인 화장실 기준 미달
→ 보건소 담당자 현장 실사에서 "불 승인 예정" 의견
해결 방안
① 설계도 재 조정 → 접수실 일부를 줄여 900x1400mm 이상 규격 확보
② 슬라이딩 도어 변경
③ 손잡이, 세면대 높이 조정
결과 구조 변경 반영 후 인허가 승인 완료
교훈 사전 설계 시 장애인 화장실 규격(출입 폭, 회전 공간 등) 반드시 고려
사례 3. 1층 입지인데도 장애인 경사로 설치 요구 – 도로 경계 문제
항목 내용
위치 XX시 신도시 상가 1층 (전면 도로 접면)
이슈 건물 출입구가 계단 2단 있음
→ 보건소 “장애인 진입로 경사로 없으면 인 허가 불가” 통보
문제 건물주가 도로쪽 경사로 설치에 비협조적
,
시공 시 인도 점용 허가 필요
해결 방안
① 도로 점용 허가 신청 → 시청 민원과 협의
② 건물주 동의서 확보 후 경사로 1.2m 설치
결과 인 허가 통과 및 개원 성공
교훈 1층이라도 단차 존재 시 반드시 경사로 계획 포함
→ 공공 도로 접점이면 지자체 허가 필요
사례 4. 장애인 시설 미 설치 허용 예외 – 전용 면적 29평 이하일 경우
항목 내용
위치 서울시 XX구 2층 소형 상가 (전용 27.8평)
이슈 내부 화장실 있음, 엘리베이터 없음
→ 소규모 의료 기관 면제 기준 검토
결과
① 「장애인 등 편의법 시행령」에 따라
전용 면적 100㎡ 미만(약 30.25평)일 경우 의무 설치 제외 가능
② 구청장 재량에 따라 서약서 제출 후 허가 통과
교훈 소형 병원일 경우 면적 기준 충족 시 설치 면제 가능성 있음
→ 단, 관할 보건소 판단 따라 예외 적용 여부 달라짐
✅ 요건 정리: 의료 기관 장애인 편의 시설 설치 기준 (요약)
구분 기준 비고
장애인 화장실 1개 이상 설치 의무 (남녀공용 가능)
출입 폭 900mm 이상, 회전 공간 1,400mm 이상 내부 설치 원칙. 외부 공용은 불가
엘리베이터 2층 이상 설치 필수 없는 경우 개설 불허
경사로 단차(계단 등) 있는 경우 필수 1:12 이하 경사, 핸드 레일 포함
예외 인정 전용 면적 100㎡ 미만 소규모 병원 지자체 재량 있음 (서약서 등 요구 가능)
근거: 「장애인·노인·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」 및 시행령
✅ 계약서 협상 포인트 예시 (장애인 시설 관련)
제XX조(장애인 편의 시설 설치 협의)
임대 목적물에 병·의원 개설 시, 인 허가를 위한 장애인 편의 시설(엘리베이터, 경사로, 화장실 등) 설치가 필요한 경우, 건물주는 이에 협조하며, 해당 구조 변경 또는 설치에 대해 사전 동의를 제공한다.
단, 공용 공간 내 설치 시 건물주가 점유 허가 및 구조물 시공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으며, 임차인은 해당 행정 인 허가를 별도로 처리한다.
✅ 정리 요약
주요 이슈 실무 대응 방법
2층 이상인데 엘리베이터 없음 무조건 불허, 계약 전 확인 필수
내부 화장실 협소 구조 변경 가능 여부 협의 필요
1층이지만 계단 존재 경사로 설치 계획 사전 수립 / 도로 점용 협의
소형 병원 (30평 이하) 장애인 시설 예외 가능, 사전 보건소 협의 필수
건물주 비협조 계약서 특약 및 서면 동의 확보 필수
- 이전글병의원 개원 시 소방시설 관련 이슈 정리 25.07.25
- 다음글용도변경에 대한 실제 사례및 추천 득약 계약 사항 25.07.25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